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sidemenu open/close
hoi cons_004_0020_0030_0020_0150

Foreign Service Despatch(1960.6.1.) 이미지뷰어 새창

  • 1960년 06월 01일
AIR POUCH

CONFIDENTIAL (Security Classification)

FOREIGN SERVICE DESPATCH
FROM : Amembassy SEOUL
TO : THE DEPARTMENTS OF STATE, WASHINGTON.

DESP. NO. 669

DATE June1, 1960

REF :
SUBJECT :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SUMMARY

The draft amendment to the ROK Constitution submitted to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by a special nine-man House Committee on May 11 establishes a more or less standard cabinet system of government to replace the discredited presidential system under which the ROK has been governed since its inception in 1948. The President himself is arripped of virtually all the extensive powers he exercised under the old regime and assumes an essentially figurehead role. He is to be elected indirectly by the Assembly. Real power rests with the Prime Minister who becomes head of government. The Assembly is to be bicameral, with the Lower House, which has the power of overturning a government by a non-confidence vote, by far the stronger of the two.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dealing with civil rights have been extensively re-written and strengthened in the amendment, as has the independence of the judiciary. Other noteworthy features of the amendment are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Constitutional Court, provisions for expended local autonomy, and stipulations recurring the neutrality of the police.
Attached to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proper are fifteen addenda which provide a time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amendment and also include provisions establishing arrangements of the translational period before the new amendment becomes fully effective. They provide inter alia that the first general election for the new House of Representatives shall be held within 45 days of the promulgation of the amendment and for a continuance of the Interim Government until these elections are held and a new government installed.
In many respects,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represents an effort to create safeguards against the abuses which had characterized the Rhee regime. This is evident both in the decision to adopt the cabinet system and in the provisions to better ensure the protection of civil rights. It remains to be seen, of course, whether a constitution written to such a great extent with a view toward preventing a repetition of the abuses experienced in the past will succeed in providing a framework for a government which are effectively fulfill the aspirations of the Korean people. Whether Korean political leaders will be able, over the next few years, to develop the maturity and integrity necessary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relatively more sophisticated political structure they are now establishing is a question which as study of the amendment itself can answer.
Background and Introduction
On the afternoon of April 26, the ROK National Assembly adopted a resolution which embodied in its final two points what has come to he the basic formula for the settlement of the political crisis brought about by the fraudulent March 15 presidential and vice presidential elections, the April protest demonstrations, and the subsequent collapse of the Syngman Rhee regime. The formula calls for the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by the incumbent Assembly to provide for a cabinet system of government, and for the holding of general elections for a new House of Representatives immediately following the passage of this amendment. It also provides for an interim cabinet to hold the reins of government until the amendment process and thee subsequent House elections are completed. At the present time, a month after it was first devised, the formula appears to have won at least the tacit approval of the majority of the Korean people as an acceptable method for establishing a framework conducive to the satisfaction of their grievances.
The passage of the April 26 resolution came just a few hours after President RHEE has announced his capitulation and had pledged to accept a cabinet system if the people wanted it. Primarily the work of the Democratic Party (DP), it marked the beginning of that minority party's ascendancy is the House and of its leadership in charting the course of reform legislation. 註01
註01
Although the resolution was passed by a unanimous voice vote, only slightly more than half the Assemblyman were in the chamber when the vote was taken. Hard faction Liberals were conspicuously absent, and Democratic Representatives were probably in the majority.
닫기
The Assembly moved promptly to implement the resolution, and of April 29 an impressive nine-man special committee was established to draft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Comprising four Democrats, four Liberals, and an independent, it included such well-known political figures as Democratic Party Assemblymen OM Sang-sop and CHO Chae-ch'on, Liberal "reformists" CHONG Un-gap and PAK Se-gyong, and Assembly Vice Speaker YI Chae-hak. Assemblyman OM was selected committee chairman, and was succeeded on his untimely death a few days later by another Democrat, CHONG Hon-ju.
[이하 p.3~p.10 판독불가]
註01
Although the resolution was passed by a unanimous voice vote, only slightly more than half the Assemblyman were in the chamber when the vote was taken. Hard faction Liberals were conspicuously absent, and Democratic Representatives were probably in the majority.
항공행낭

3급비밀

외교전문(Foreign Service Despatch) 669호

발신 : 서울, 대사관
수신 : 워싱턴, 국무부
제목 : 헌법 개정

요약

5월 11일 국회 9인의 개헌기초위원회(special nine-man House Committee)가 대한민국 헌법 개정안 초안을 국회 전체회의에 상정했다. 개정안은 1948년 출범 이래로 대통령 중심제였던 국가의 통치시스템을 내각 책임제 형태의 정부로 바꾸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전의 체제에서 누리던 대통령의 실권은 사실상 모두 폐지되며 사실상 명목상의 최고책임자의 역할만 담당하게 된다. 대통령은 국회에서 간선제로 선출된다. 실권은 국무총리에게 주어지며 국무총리가 정부의 책임자가 된다. 국회는 양원제로 운영되며, 민의원은 국무원에 대한 불신임권을 지닌다. 양원 중 민의원이 보다 강력한 힘을 가지게 된다. 헌법에서 시민권과 관련된 조항들이 XXX(인쇄 불량) 새롭게 쓰여졌으며, 개헌안에서는 이 부분이 보다 더 강화되었다. 사법권의 독립 역시 강화되어 있다. 다른 헌법 개정안의 주목할 만한 부분은 독립된 헌법재판소의 설치, 지방자치의 확대, 경찰의 중립권 등이다.
첨부한 헌법개정안 전문에는 15개의 부칙이 포함되어 있다. 부칙에서는 헌법개정안의 시행 절차가 담겨 있으며, 또한 새로운 헌법 개정안이 완전히 발효되기 전의 과도기 기간에 대한 조치 등이 규정되어 있다. 헌법 개정안에는 특히 새로운 국회의원 총선거가 헌법 개정안 공포 45일 이내에 시행될 것으로 서술되어 있으며, 과도정부(Interim Government)가 이 선거를 시행할 것이며 이후 새로운 정부가 수립될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여러 측면에서 볼 때 헌법 개정안은 권력남용을 막기 위한 특별한 보호막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권력 남용은 이승만 정부의 특징이었다. 이 점은 내각 책임제의 정부형태를 채택한 것과 시민권을 보호하겠다는 규정을 보더라도 분명해 보인다. 과거에 겪었던 권력 남용을 막기 위해 새롭게 쓰여진 헌법이 과연 한국 국민의 염원을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정부의 틀을 마련하는데 성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후 몇 년 동안 한국의 정치계가 더욱 성숙해지고 또 보다 정교한 정치 구조를 실제 작동시킬 수 있을지의 여부는 지켜보아야 하는 문제가 될 것이며, 헌법 개정안을 검토하면서 우리가 찾을 수 있는 문제는 아닐 것이다.
배경과 도입
4월 26일 오후, 대한민국 국회는 3월 15일 대통령 및 부통령 선거가 초래했던 정치적 위기에 이어서 4월 항쟁이 발발하고 이승만 체제가 붕괴하게 된 사건에 대해서 두 가지 해결책을 합의한 바 있다. 먼저 현재의 국회가 내각 책임제를 중심으로 한 헌법 개정안을 만들 것이며, 헌법 개정안이 통과된 이후 즉시 새로운 국회를 구성하기 위한 선거를 치르기로 한다는 점이다. 또한 헌법 개정안이 통과되는 기간 및 이후 새로운 국회 구성이 완료되는 동안 총선을 치르는 등의 정부 역할을 담당하게 될 과도 정부가 필요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이런 해결책들이 알려지게 된 이후 한 달 정도가 지난 현재 시점에서 판단하자면, 대다수의 한국인이 그들의 고난을 만족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암묵적인 승인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4월 26일 해결책에 대해서 국회가 합의한 직후 불과 몇 시간 만에 이승만 대통령의 하야 성명이 발표되었는데, 이승만은 만약 국민이 원한다면 내각 책임제를 받아들이겠다는 내용이었다. 결국 이러한 과제는 민주당의 업무일 수밖에 없으며, 국회에서 소수의 정당이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는 첫 번째 시도였으며, 개혁입법을 지도해야 하는 첫 번째 시도가 될 것이다. 註01
註01
국회에서의 수습책은 거수 표결로 진행이 되었는데, 표결이 진행될 무렵 국회에는 과반수를 겨우 넘는 국회의원들이 출석했다. 과격한 자유당 의원들은 대다수 불참했으며, 민주당 대표들이 다수를 차지했다.
닫기
국회는 이런 수습책을 신속하게 진행시켰는데, 4월 29일 내각 책임제 개헌을 준비하는 9인의 개헌기초위원회가 구성되었다. 민주당 소속 4명, 자유당 소속 4명 그리고 무소속 1명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저명한 국회의원들로 구성되었는데 민주당의 엄상섭(OM Sang-sop), 조재천(CHO Chae-ch’on), 자유당의 “혁신주의자”인 정운갑(CHONG Un-gap), 박세경(PAK Se-gyong), 그리고 국회부의장인 이재학(YI Chae-hak) 등이다. 엄상섭 국회의원이 위원장으로 선출되었으나 그가 며칠 후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민주당 정헌주(CHONG Hon-ju)로 교체되었다.
첫 번째 회의에서 위원회에서는 민주당과 자유당의 개혁파가 만들어 두었던 헌법 초안을 각각 기본 자료로 활용할 것을 결정했다.
1. (이하 인쇄 불량으로 보이지 않음)
註01
국회에서의 수습책은 거수 표결로 진행이 되었는데, 표결이 진행될 무렵 국회에는 과반수를 겨우 넘는 국회의원들이 출석했다. 과격한 자유당 의원들은 대다수 불참했으며, 민주당 대표들이 다수를 차지했다.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